|
단편영화 제작 워크숍 3기 |
 |
임공삼 |
 |
2018/12/15 ~ 2019/03/09 |
 |
8명 |
 |
토 16:00~19:00 (12회/총36시간) |
 |
N |
 |
9월 |
 |
|
|
  |
|
|
|
|
|
|
* 3기 휴강 : 2019/2/2
안녕하세요.
단편영화 워크샵 강사 임공삼이라고 합니다.
이 강좌는 단편영화를 만들기 위한, 어떻게든 영화를 완성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강좌입니다.
먼저, 이 강좌는 영화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배운 적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배운 적이 없더라도 강좌를 수강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강좌의 목표가 '단편영화의 완성'이기 때문에 영화를 만드는 과정에 집중하여 강의가 진행됩니다. 따라서 이론적인 면이 다소 부족할 수 있습니다. 처음이신 분들이라면 먼저 한겨레의 영화제작학교 혹은 영화연출학교를 먼저 수강하시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이 강좌는 수강생 한 명이 한 편의 단편영화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때문에 영화제작 과정은 다분히 개인 작업이 될 것입니다. 강좌의 구성원이 몇 명이 될지도 모르는 상황,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선택과 집중, 한정적인 스케줄 등 일명 품앗이로 영화를 만들기에는 개인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수강생 분들이 각각 처한 상황에 따라 스태프 구성이 가장 힘든 부분입니다. 따라서, 스태프 구성을 원하시는 분들은 스태프 구성을 도와드리겠습니다.(부담되지 않는 일정 수준의 페이는 필요로 합니다.) 이는 영화제작 예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강좌를 시작하기 전에 필히 논의를 거쳐야 할 것입니다. 영화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시나리오 입니다. 따라서 시나리오 작성에 많은 시간을 들여 수업을 진행합니다. 또한 워크숍 작품 프로덕션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강사가 쓴 시나리오로 3분 단편영화 제작 실습이 이뤄집니다.
마지막으로, 마음의 준비가 되신 분들에게는 자신만의 영화를 극장에서 볼 수 있도록 열심히 도와드리겠습니다.
◆ 지원사항
3분 단편영화(교육과정에 포함 된 공동 실습 작품) 수업 지원
조명 장비 지원(키노/텅스텐/데도 및 부속품)
제작회의/오디션을 위한 공간 지원
편집실(파이널컷/프리미어CC) 지원
극장 시사회 지원
장비대여 할인 혜택 (한겨레 제휴 장비업체 이용 시) * 지원 사항 외 워크숍 작품 제작 비용은 수강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 강좌 특징
영화 기초 이론, 실습을 익힌 분을 대상으로 합니다.
영화를 처음 배우시는 분들은 '영화연출학교', '영화제작학교'를 먼저 수강해주세요.
◆ 수강 추천 대상
한겨레 영화연출학교/영화제작학교 수료생으로 역량을 갖춘 예비 영화인
영화아카데미/대학원 진학을 위한 포트폴리오 제작에 도움을 받고 싶은 이
단편영화 아이템/시놉시스/시나리오 완성에 보다 전문적인 도움을 받고 싶은 이
영화연출 역량을 갖춘 스태프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
시나리오 완성-첨삭-촬영-편집-상영까지 단편영화 제작 전 과정을 체험하고 싶은 이
* 개강에 필요한 최소 인원이 안 될 경우, 폐강되거나 개강이 연기될 수 있습니다.
일정 변동 시 문자나 전화로 알려드립니다.
□ 강사명: 임공삼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졸업
2005년 장편영화 <5W 1H> 시나리오/조감독
중편영화 KT 제작 옴니버스 ‘말아톤’ 정윤철 감독 <폭풍의 언덕> 제작실장
2007년 장편영화 ‘동감’ 김정권 감독 <바보> 제작실장
뮤직비디오 ‘izi 밴드’ <아부지> 연출
뮤직비디오 ‘투썸’ 연출
드라마 mbc every1 <연애의 발견> 조감독
2008년 장편영화 ‘용서받지 못한 자’ 윤종빈 감독 <비스티보이즈> 제작관리
장편영화 <간이역> 시나리오
장편영화 <스위트 베케이션> 시나리오
2009년 네이버 웹툰 “낢이 사는 이야기” 영화프로젝트 시나리오
2010년 SK 텔레콤 포토드라마 극본/연출
한국 휴렛팩커드 HP 인터넷 바이럴 영상 6부작 극본/연출
2011년 서울영상위원회 프로덕션오피스 1기 입주작 선정
장편영화 <낢이 사는 이야기> 제작 준비
2012년 케이블 드라마 <폭풍알바 박가윤> 극본 준비
제6회 여성인권영화제 트레일러 연출
2013년 드라마 플래닛 제작 16부작 퓨전사극 <영웅> 극본 준비
연극 “생존의 법칙” 시나리오 각색
필립스 사틴퍼펙트 바이럴 제작
아놀드 파마 2013 편집CF 제작
2014년 영화 <생존의 법칙> 시나리오
부산국제영화제 Asian Film Market 프로젝트 피칭 최우수작품 선정
아놀드 파마 2014 편집CF 제작
2016년 장편 상업 영화 ‘우리들의 일기’ 감독 / 개봉 대기 중
장편영화 <악인의 시간> 시나리오
1주차_오리엔테이션 - 오리엔테이션.
- 나에게 영화란?
- 영화를 사랑하는 법.
- 내가 찍고 싶은 영화를 찾읍시다.
- 질문지 작성. ※ 과제 : 1분 영화 만들기. (강사가 제시하는 시나리오로 자신만의 1분 영화 만들어 오기)
2주차_시놉시스 1 - 1분 영화 평가 및 토론.
- 영화의 시작과 끝, 시나리오.
- 시놉 작성 법.
- 시놉시스는 어떻게 쓰는가?
- 이 시나리오에서 내가 정말하고 싶은 이야기가 무엇인가? ※ 과제 : 워크숍 작품 시놉시스 초고 작성.
3주차_시놉시스 2 - 시놉시스 발표 및 발전방향 모색.
- 시놉시스 작성 실전 팁.
- 단편영화 감상 및 토론. ※ 과제 : 워크숍 작품 시놉시스 완성.
4주차_시나리오 1 - 나의 아이템, 나의 시놉시스 그리고 나의 시나리오.
- 완성 시놉시스 발표 및 발전방향 모색.
- 시놉시스의 시나리오화.
- 시놉시스 뜯어보기.
- 트리트먼트 작성. ※ 과제 : 워크숍 작품 트리트먼트 작성.
5주차_시나리오 2 - 트리트먼트 발표 및 발전방향 모색.
- 트리트먼트 뜯어보기. - 시나리오를 어떻게 쓸 것인가? - 시나리오 작성 실전 팁. ※ 과제 : 워크숍 작품 시나리오 작성.
6주차_단편영화 실습 1 : 단편영화를 찍기 위해 필요한 것들? - 3분짜리 단편영화 제작 실습.
- 시나리오 선택 (강사가 제시한 시나리오 중 택 1)
- 시나리오 토론 및 발전방향 모색.
- 각종 문서 작성법 (씬리스트, 장소구분표 등) ※ 과제 : 워크숍 작품 시나리오 작성.
7주차_단편영화 실습 2 : 프리프로덕션
- 3분짜리 단편영화 제작실습.
- 콘티그리기.
- 스탭구성.
- 헌팅.
- 배우 캐스팅.
- 촬영 전 후반작업 전반에 관한 확인사항 체크. ※ 과제 - 워크숍 작품 시나리오 작성.
- 3분 단편영화 업무분담
7주차_단편영화 실습 3
- 3분짜리 단편영화 제작 실습.
- 촬영! ※ 과제 : 워크숍 작품 시나리오 작성.
8주차_후반작업 1
- 3분짜리 단편영화 제작실습.
- 후반작업의 이해.
- 편집.
- 색보정.
- CG.
- 음악선곡. ※ 과제 : 워크숍 작품 시나리오 작성.
9주차_후반작업 2
- 3분짜리 단편영화 제작 실습.
- 3분 단편영화 완성본 상영 및 토론.
- 워크숍 작품 시나리오 작성 중간 점검 ※ 과제 : 워크숍 작품 시나리오 완성.
10주차_워크숍 작품 시나리오 완성
- 시나리오 완성, 발표 및 발전방향 모색.
- 촬영 체크리스트 작성.
- 시나리오 수정 및 진행 방안 토의
- 예산 / 헌팅 / 캐스팅 진행방안 등. ※ 과제 : 워크숍 작품 시나리오 수정 및 제작기획서 작성 (예산 및 일정 등)
11주차_촬영준비
- 시나리오 수정 완료.
- 일일촬영계획표.
- 캐스팅 및 스태프 구성
- 촬영 전 주의 사항 확인
- 제작기획서 작성 완료. ※과제 : 워크숍 작품 촬영!!!
12주차_촬영완료
- 가편집본 확인 및 완성본에 필요한 부분 멘토링. - 후반작업을 위한 촬영 평가.
-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고민. ※ 과제 : 믹싱 및 완성.
+ 극장시사 *극장 시사회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가끔 들려보시면 자기에게 꼭 필요한 어떤것을 건질지도 모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