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13,730 개

소소하게 수다나 떨자는 곳입니다. 무슨 얘기든지 좋습니다.
아무거나 한마디씩 남겨주세요.(광고만 아니라면).

조선시대 전문용어

running3
2002년 07월 16일 16시 41분 41초 6801 7
가자(加資) : 정3품 통정대부 이상의 품계. 또는 정3품 통정대부 이상으로 품계를 올림
계문(啓聞) : 관찰사 또는 어사가 임금에게 상주함
계사(啓辭) : 죄를 논할 때 올리던 문서
계청(啓請) : 임금에게 아뢰어 청함
고신(告身) : 관리임명장인 동시에 신분증명서 역할을 하던 직첩(職牒)의 별칭
공초(供招) : 범인의 범죄 사실을 진술한 문서
교서(敎書) : 임금의 명령서
교지(敎旨) : 4품 이상 관리의 사령. 왕지(王旨)
급재(給災) : 재해를 입은 논밭의 세금을 면해줌
논박(論駁) : 잘못된 것을 지적하여 말함
망민(罔民) : 백성을 속임
면려(勉勵) : 스스로 힘씀. 힘쓰게 함
무고(誣告) : 거짓으로 꾸며 남을 고발함
배알(拜謁) : 높은 어른을 공경하여 봄
별단(別單) : 임금에게 올리던 문서에 첨부하던 문서나 인명부(人名簿)
부처(付處) : 귀양살이
복주(覆奏) : 반대 의견을 상소함
비답(批答) : 상소에 대한 임금의 하답(下答)
빈청(賓廳) : 임금과 대신, 비변사 당상들의 회의실
사사(賜死) : 죄인을 대우하여 사약을 내려 자결케 함
사유(赦宥) : 죄를 용서해 줌
사은(謝恩) : 은혜를 사례함
삼망(三望) : 관리 임명이나 시호 추천시 셋의 후보를 추천함. 단망(單望)은 하나를 추천함.
삼복(三覆) : 사형 처분시 신중함을 기하기 위해 세차례 거듭 심사함. 삼자(三刺)
상참(常參) : 중신들이 편전에서 매일 국무를 아뢰는 것
서경(署經) : 이름과 문벌, 이력 등에 관하여 대간(臺諫)의 조사 후에 승인을 받음
서계(書啓) : 사명을 띤 관리가 일을 마치고 돌아와서 올리는 보고서. 복명서(復命書)
서용(敍用) : 죄가 있어 면직시켰던 자를 다시 임용하는 것
소견(召見) : 불러서 만나봄
소치(召致) : 불러서 오게 함
시권(試券) : 과거에서 글을 지어 올린 답안
시망(諡望) : 공신에게 시호를 내릴 때 3가지를 정해 올리던 일. 임금이 1개를 골라 정함
시무(時務) : 그 시대의 급한 일. 시급한 일
시정(時政) : 그 시대의 정치
시취(試取) : 시험을 실시하여 인재를 뽑음
시폐(時弊) : 그 시대의 폐단, 나쁜 풍습
신칙(申飭) : 거듭 타일러 훈계함
예궐(詣闕) : 대궐에 들어감. 입궐(入闕). 참내(參內)
유시(諭示) : 타일러 훈계함
유지(宥旨) : 임금이 죄인을 특별이 용서하여 주는 명령
유지(有旨) : 전하께서 승정원(承政院)의 승지(承旨)를 통하여 신하에게 내리는 명령서
윤음(綸音) : 임금의 말씀. 윤지(綸旨)
윤허(允許) : 임금의 허가. 가납(嘉納). 윤가(允可). 윤유(允兪). 윤준(允準)
은사(恩賜) : 임금이 내려 줌. 임금이 내려 주는 물건
의망(擬望) : 후보자 3인 추천
의명(依命) : 상급 기관이나 관리의 명령에 의거함
이문(移文) : 관청끼리 서로 조회함
인견(引見) : 아래 사람을 불러들여 봄. 임금이 의식을 갖춰 의정을 만남
인행(印行) : 출판하여 간행함
작처(酌處) : 죄의 경중에 따라 처단함
장계(狀啓) : 어명으로 지방에 나간 관리들이 결과를 올린 계본(啓本)
전교(傳敎) : 임금의 명령. 하교(下敎)
전문(箋文) : 나라에 길흉(吉凶)이 있거나 임금의 은전이 있을 때 올리는 글
전지(傳旨) : 상벌에 관해 왕명을 전달하던 일
정거(停擧) : 과거에 응시할 자격을 박탈함
정단(呈單) : 서면(書面)을 관아에 제출함
제수(除授) : 추천을 받지 않고 임금이 직접 관리(官吏)를 임명함. 제배(除拜)
조명(朝命) : 조정의 명령
조참(朝參) : 왕이 매달 4차례 정전(正殿)에 친림하여 신하들과 정사에 관하여 논의하는 것
조하(朝賀) : 조정에 나가 임금에게 축하하는 예식
조현(朝見) : 신하가 임금을 뵘
조회(朝會) : 백관이 조현(朝見)하기 위해 모이던 일
주강(晝講) : 오시(午時)에 행하던 법강(法講). 예식을 갖춰 임금 앞에서 하던 학문 강의
중외(中外) : 속과 바깥. 국내와 국외. 서울과 시골. 조정과 민간
직간(直諫) : 기탄없이 바른 말로 간함
차자(箚子) : 간단한 서식의 상소문
천거(薦擧) : 인재를 어떤 자리에 쓰도록 추천함. 거천(擧薦)
체직(遞職) : 관리를 교체함. 체임(遞任)
초(草) : 기초, 초서(草書)
초계(抄啓) : 인재를 아뢰어 선발함
초수(超授) : 품계를 올림
초입사(初入仕) : 처음으로 벼슬길에 오름
초자(超資) : 품계을 건너 뛰어 올림
추고(推考) : 관리들의 허물을 캐어물으며 자세히 살핌
추국(推鞫) : 죄를 다스림, 의금부에서 특지(特旨)로 중죄인을 신문함
추복(追復) : 빼앗긴 관작이나 위호를 죽은 후에 다시 복원함
추존(追尊) :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은 이에게 왕의 칭호를 추서함. 추숭(追崇)
추증(追贈) : 죽은 후에 벼슬을 올려줌. 종2품 이상 관리의 조상에게 벼슬을 내림. 추영(追榮)
추시(追諡) : 죽은 뒤에 시호를 올림. 추호(追號)
취재(取材) : 재주를 시험하여 뽑아 씀
칙유(勅諭) : 임금이 몸소 타이른 말씀 또는 그 포고문
파방(罷榜) : 과거 급제를 최소함
품의(稟議) : 상관에게 글과 말로써 의논함
품처(稟處) : 상주하여 처리함
피혐(避嫌) : 혐의를 피함. 혐의를 받거나 상피관계에 있는 자가 관여하지 않거나 피하는 것
하유(下諭) : 서울로 상경할 것을 명함
합계(合啓) : 삼사에서 연합하여 올리는 계사(啓辭)
흠결(欠缺) : 일정한 수효에 부족이 생김

거둥(擧動) : 임금의 거동은 거둥이라고 읽음
능행(陵幸) : 임금이 선왕이나 왕후의 무덤, 즉 능에 거둥(擧動)함
몽진(蒙塵) : 임금이 난리를 만나 피함
행행(行幸) : 임금이 궁중 밖으로 거둥함

독대(獨對) : 임금이 신하와 단독으로 만나는 것. 사관이 배석하지 않음
소대(召對) : 임금이 신하를 불러 만나는 것
연대(筵對) : 경연에서 임금과 신하가 만나는 것
윤대(輪對) : 궁중에 참석하여 임금의 질문에 윤번으로 응대하던 일. 문관 6품 이상, 서반 4품 이

상.
차대(次對) : 매달 6차례 의정과 대간, 옥당들이 입시하여 중요 정무를 상주하던 것
청대(請對) : 신하의 주청에 의해 만나는 것

원임(原任) : 전직 관리. 전임(前任)
시임(時任) : 현직 관리. 현임(現任)
실직(實職) : 실무를 보는 관직. 실무에 해당하는 실제 관직. 정직(正職). 본직(本職)
겸직(兼職) : 겸임한 관직. 겸관(兼官)
예겸(例兼) : 의례히 또는 당연히 겸하는 관직. 예겸직(例兼職). 당연직(當然職)

가례(家禮) : 한 집안의 예법. 또는 주자 가례(朱子家禮)
문벌(門閥) :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지체. 가세(家世). 문호(門戶)

사맹삭(四孟朔) : 네 철의 각 첫 달. 음력 1월, 4월, 7월, 10월. 맹월(孟月)
사중삭(四仲朔) : 네 철의 각 가운데 달. 음력 2월, 5월, 8월, 11월. 중월(仲月)
상정일(上丁日) : 최초로 정자(丁字)가 든 날

사서(四書) : 유교의 경전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대학(大學)
사서삼경(四書三經) : 사서(四書)와 삼경(三經). 칠서(七書)
사서오경(四書五經) : 사서삼경(四書三經)에 예기(禮記)와 춘추(春秋)를 더한 것
삼경(三經) : 유교의 경서 중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 시서역(詩書易)
역수(易數) : 음양에 의하여 길흉 화복(吉凶禍福)을 이리 아는 술법
주자학(朱子學) : 남송의 주자가 이기설(理氣說)을 기초로 집대성한 유학. 성리학(性理學)

고과법(考課法) : 능력 평가제. 上中下의 3단계로 평가. 中이나 下면 사임하는 것이 관례

각신(閣臣) : 규장각(奎章閣)의 제학(提學)
경재소(京在所) : 서울에 설치하였던 각 지방 고을의 출장소
고굉지신(股肱之臣) : 임금이 가장 믿고 중요하게 여기는 신하
관각(館閣) :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
관보(官報) : 원명은 조보(朝報). 승정원에서 매일 아침 반포하던 신문. 기별(奇別), 난보(爛報),

조지(朝紙)
관찰사(觀察使) : 조선조 각 도의 최고 지방관. 8도 또는 23부, 13도를 다스림. 감사(監司)
관품(官品) : 벼슬의 등급. 조선에서는 18품 30계. 관계(官階). 관등(官等)
관학(官學) : 국가에서 운영하는 학교. 성균관, 4학(四部學堂), 종학(宗學), 잡학, 향교 등
국청(鞫廳) : 대역죄인 등 중죄를 범한 자를 심문하기 위해 설치하는 임시 관청
군관(軍官) : 각 군영의 권무군관, 별군관, 지고관, 기패관, 별무사, 교련관, 별기위 등
금군(禁軍) : 궁중을 방어하던 군대. 용호영 산하의 내금위, 겸사복, 우림위 소속 병사
낭청(郎廳) : 각 관청에 소속된 당하관을 이르는 말. 또는 정5품 통덕랑 이하. 낭관(郎官)
녹봉(祿俸) : 관원에게 연액(年額. 연금)으로 주던 쌀, 콩, 보리, 명주, 베 등. 복록(福祿)
당상관(堂上官) : 조선조 정3품 통정대부, 절충장군, 명선대부, 봉순대부 이상의 관리
당하관(堂下官) : 조선조 정3품 통훈대부, 이모장군, 창선대부, 정순대부 이하의 관리
대간(臺諫) : 사헌부(司憲府)와 사간원(司諫院)을 아울러 이르는 말
대사성(大司成) : 성균관(成均館)의 정3품 으뜸 벼슬
대제학(大提學) :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의 으뜸 벼슬. 문형(文衡)
도감(都監) : 국장(國葬), 국혼(國婚) 등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설치하는 임시 관청
도백(道伯) : 관찰사(觀察使)
목사(牧使) : 고려 및 조선조 때의 정3품 외관직(外官職) 문관. 목관(牧官). 목백(牧伯)
묘당(廟堂) : 의정부(議政府)
문묘석전(文廟釋奠) : 문선왕(文宣王) 공자(孔子)를 모신 사당의 정규 제향(祭享)
미관말직(微官末職) : 지위가 보잘것없이 낮은 벼슬. 미말지직(微末之職)
방목(榜目) : 과거에 급제한 사람의 성명을 적은 책. 방(榜)
변장(邊將) : 첨사(僉使)나 만호(萬戶) 등의 총칭. 종3품 무관직
별시(別試) :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나 병년(丙年)마다 보던 문무의 과거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 조선조 때 각 도에 1-2명씩 파견한 병마(兵馬) 지휘관. 종2품
사대부(士大夫) : 양반 벼슬아치를 통털어 이르는 말. 정1품에서 종4품까지의 벼슬아치
사류(士類) : 학식과 덕망이 높은 선비의 무리
삼관(三館) : 성균관(成均館), 예문관(藝文館), 교서관(校書館)
선전관(宣傳官) : 임금에게 올린 글 또는 임금이 내린 글을 읽던 관리. 무관
수령(守令) :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 관찰사, 부사, 목사, 군수, 현령, 현감
승문원(承文院) : 사대 문서(事大文書)와 교린 문서(交隣文書)에 관한 일을 담당하던 관청
승지(承旨) : 승정원(承政院)의 정3품관. 도승지, 좌우승지, 좌우부승지, 동부승지
시관(試官) : 조선조 때 과거시(科擧試)에 관계되는 모든 직임(職任)
시종신(侍從臣) : 임금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신하
안렴사(按廉使) : 고려와 조선 초의 지방관. 안찰사(按察使).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
양관제학(兩館提學) :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의 제학(堤學). 종2품 당상관
양반(兩班) : 동반(東班)인 문반(文班)과 서반(西班)인 무관(武班). 문관과 무관
양첩(良妾) : 양민의 신분으로 남의 첩이 된 여자
언관(言官) : 사헌부(司憲府)와 사간원(司諫院)의 관리
역관(譯官) : 통역을 하는 관리. 사역원(司譯院) 관리의 총칭
옥당(玉堂) : 홍문관(弘文館) 또는 홍문관 관리의 총칭
육조(六曹) : 고려와 조선의 여섯 관청. 이(吏), 호(戶), 예(禮), 병(兵), 형(刑), 공(工)
음사(蔭仕) : 문음(門蔭) 또는 생원, 진사, 유학에 의해 하는 벼슬. 음관(蔭官)
의녀(醫女) : 8도에서 선발하여 의술을 교육받고 내의원과 혜민서에서 심부름을 하는 여자
의정(議政) : 영의정(領議政), 좌의정, 우의정. 삼상(三相). 삼공(三公). 삼정승(三政丞)
의정부(議政府) : 조선조 최고 행정 관청. 정종 2년(1400) 설치. 의정, 찬성, 참찬 등을 둠
적서(嫡庶) : 정처(定妻)에서 난 아들과 첩(妾)에서 난 아들. 또는 그 계통
전랑(銓郞) : 이조 정랑(正郞:정5품)과 좌랑(佐郞:정6품)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전조(銓曹) : 관리를 임명하거나 이동시키는 권한을 가진 관청인 이조(吏曹)와 병조(兵曹)
절제사(節制使) : 조선조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의 준말. 정3품 당상관. 순문사(巡問使)
제조(提調) : 각 관청의 일을 명목상으로 맡은 자. 정1품 도제조, 정2품 제조, 당상 부제조
조관(朝官) : 나라의 정사를 맡은 벼슬아치. 심부름하는 관리와 궁관, 환관 등은 제외
중사(中使) : 궁중에서 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일을 맡은 내시
참상관(參上官) : 정3품 당하관 통훈대부로부터 종6품 선무랑까지의 품계에 있는 관리
참판(參判) : 육조(六曹. 吏, 戶, 禮, 兵, 刑, 工曹.)의 종2품 당상관. 문관직
참하관(參下官) : 정7품 무공랑부터 종9품 장사랑까지의 품계에 있는 관리. 참외(參外)
천첩(賤妾) : 종이나 기생의 신분으로 남의 첩이 된 여자
초입사(初入仕) : 처음으로 벼슬길에 오름. 초사(初仕)
판서(判書) : 육조(六曹. 吏, 戶, 禮, 兵, 刑, 工曹.)의 으뜸 벼슬. 정2품 당상관
한량(閑良) : 무관 벼슬아치 집안 출신으로 무과에 응시하지 않았거나 낙제한 자
행재소(行在所) : 임금이 거둥할 때 머무는 장소
향통사(鄕通事) : 사신(使臣)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방의 요충지에 둔 역관(譯官)
현관(顯官) : 잡직을 제외한 실직의 문반 또는 무반 관직에 있는 자
" It's Time~!! "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대상이 특정되는 비방,폭로 등의 글은 삭제합니다 10
대상이 특정되는 비방,폭로 등의 글은 삭제합니다 10 관리자 2020.12.06 2354933
동시녹음 꿈나무를 찾아봐요. 11 PD최 2024.02.16 118091
경험 및 포폴 쌓기 위해 무페이로 한달 간 일해보려 합니다. 3 김매빌 2024.05.31 82284
메인플러스 질문드립니다 2 녹차라떼슈페너 2023.12.13 81973
서울대 영화과 신설이 시급하다. 21 minpacka 2024.06.06 74423
인천)무료로 프로필/화보촬영 하실분 2 소이뷰티 2024.07.04 73485
음향장비 pcm d10 질문 4 영화쟁 2024.05.13 71246
너무 힘들어서요 아무도 안 읽었으면 좋겠네요 9 연기하고싶은 2024.03.06 69280
세종에서 연기 과외선생님 구합니다 1 0206 2023.12.22 67800
유튜브 자체컨텐츠 제작 덕션 회사 있을까요? 1 deenda 2024.07.05 67549
한예종 전문사 vs kafa 4 1000만감독 2024.05.17 67533
배우 + 배우지망생들에게 이런 제의가 온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1 JAYDO 2024.07.06 66907
현장 경험하고 싶습니다. 6 jiee 2023.12.22 66813
오디션 성공을 위한 모델 배우의 네트워킹 비밀: 씨크릿 5단계 1 신CP 2024.04.28 65097
연출부 구인 관련하여 오픈채팅방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18 LeeJongChan 2024.06.30 63906
현장에서 막내로 일 배우고 싶습니다! 7 꼼자 2022.12.20 63847
메이크업 팀원 필요하신 분들! 2 으서 2024.05.23 62693
영화 촬영 후 스튜디오 원복은 미술팀의 몫인가요 아니면 제작부의 몫인가요? 4 WjddPwls 2024.04.30 62531
D.I에 참여해 보고싶습니다 9 colorist이주영 2024.02.26 62346
영화 촬영 현장 노동 강도가 어떤가요? 9 양갱 2023.12.09 61771
1 / 687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