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13,731 개

소소하게 수다나 떨자는 곳입니다. 무슨 얘기든지 좋습니다.
아무거나 한마디씩 남겨주세요.(광고만 아니라면).

충무로에 작가가 없다?

mbs7555
2005년 03월 06일 01시 11분 59초 10777 6
충무로에 작가가 없다?

제작사에서 전화가 옵니다. 당신의 글빨을 사고 싶다고...

지망생들은 영화사에서 연락이 오거나 당신의 작품을 감동 깊게 읽었다고 하면 그 순간 뿅가서 뒤로 나자빠질 겁니다.

어쩜 잔치라도 할지 모르죠. 사돈에 팔촌까지 부르고, 부모님은 우리 자식 드디어 출세한다며 감격하겠죠...

친구들한테 전화해서 나 영화사랑 계약할 것 같아, 하고 입력된 전화로 다 문자 보내고 난리나죠.

은근히 니들 이제껏 나 개무시했지, 너희들 장동건 사인이라도 받고 싶으면 앞으로 나한테 잘 보여야해.

전지현? 걔 작가한테 깜빡 죽잖아...

난 주인공으로 설경구를 생각하고 썼는데 내가 요구하면 영화사가 아마 설경구한테 내 작품을 보내 캐스팅을 논의하겠지, 단박에 매료되선 출연하겠다고 먼저 덤빌걸. 이런 상상 속에서 살게 되겠죠.

그러나 이것은 계약을 논하기 전 상황일 겁니다.

만약 작가가 계약을 요구한다면?

아, 작가님, 당신 정말 글 재밌데요, 꼭 한번 뵈고 싶어 연락드렸습니다 하면 식사나 커피를 마시는 자리에서 분명히 밝히십쇼.

너무 황송하고 어쩔 줄 몰라 열심히 하겠습니다. 시키는 대로 하겠습니다 하면 기싸움에서 집니다.

대부분의 영화사가 당신이 계약을 하고 싶다. 문서에 도장을 찍고 싶다고 하면 갑자기 태도가 변할 겁니다.

어쩜 휴대폰을 꺼내, 어, 또 다른 작가인 김작가가 있었구나 깜빡했네...하면서 당신의 요구를 못들은 척 하거나 충무로에 널린 게 작가야, 들으라는 듯 말하겠죠.

혹은 바쁜 척 회의가 있어서 잠깐 자릴 피하거나..할 겁니다. 영화사가 작가를 찾을 때는 십중팔구 기존의 작가들이 모두 도망가서 아무도 없을 때가 많습니다. 왜 집필을 중단할까요? 당연히 노동력을 착취하면서 그걸 돈으로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버티다 버틴 작가들은 결국 짐을 싸서 떠납니다.

그럼 제작자들은 욕을 하죠. 끈기가 없다느니... 열의는 없고 돈만 밝히는 게 무슨 작가라고...


제작사는 시나리오 쓰는 걸 대부분 이렇게 판단합니다. 한번 생각해 보세요.

물건을 살 때 진열된 물건을 고르고 사야지 뭐 아무 것도 없는데 어떻게 당신을 믿고 선불금을 줍니까?

일단 써라. 쓴 걸 보고 하자.

프로들은 처음부터 이런 얘기 안해. 초 치는 거거든. 한 배를 타야지.

요즘 젊은 친구들은 너무 계약계약 하는데 충무로 예전엔 이러지 않았어. 그땐 의리가 있었어, 의리! 할겁니다.


그럼 초보 작가는 괜히 주눅들고 겁먹고 짤릴까봐, 어머 나 이러다 충무로서 왕따 되는 거 아냐 하면서...그래 열심히 쓰자, 내 실력을 보여주자! 그럼 무시 못할 거다 하면서 그들의 페이스에 서서히 말려들기 시작합니다.
이제부터 작가는 집에 처박혀 폐인이 됩니다. 부모님은 아이고 우리 자식이 원고 집필하잖아, 아마 주연배우가 장동건이라지 하면서 소곤소곤 전화를 친척이나 동창에게 걸겠죠. 한달 두달 세달... 당신은 점점 미쳐갑니다.
제작사는 밥한끼 선심쓰듯 사주며 음, 얼마나 썼어? 우리모두 작가님 글 기다리고 있잖아. 대박한번 나자구, 대박!
초고가 나옵니다....
저 휴대폰 요금이랑 카드 대금이 밀려서... 어떻게...
그럼 제작사는 갑자기 태도가 조금씩 변하기 시작합니다.
작가! 자네 때문에 프로젝트가 자꾸 세월을 보내잖아... 제작부며 연출부며... 놀고 있잖아. 일단 글이 나와야지...
작가는 갑자기 이 모든 책임이 저 때문인 걸로 알곤 부담을 갖게 됩니다.
아 빨리 쓰자... 쓰자...
그러면서 똥구녕을 살살 간지릅니다.
이번 작가 작품은 아마도 봉준호나 박찬욱이 어울려. 저번에 투자가 만나서 슬쩍 얘기해 줬거든. 그랬더니 깜빡 죽더라고, 축하해!
병신 같은 작가는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감솨, 감쏴....
어때? 우리가 다음주에 감독 선임 문제로 한번 미팅을 잡으려고. 괜찮지 봉준호 감독.
그럼요 황송할 따름입니다....
배우 누구 생각한 사람있어? 우리 대표가 마당발이잖아. 연예계에...
전 그저... 원빈도 좋고 장동건도 좋고...
동건이? 걔 우리 영화사에서 컸어? 몰랐지? 전화 한통이면 만사제쳐놓고 달려오잖아.
한번 만나게 해줄까?
오, 주여... 감쏴, 감솨...

그러니 열심히 써.
네.

그저 열심히 글만 잘 나오면 모든 게 만사형통이야.

모든 에너지를 글에 집중해!

요즘 잔머리 굴리는 것들은 말야 계약이다 돈이다 뭐다 이런 거에 환장해서

글빨이 안 올라. 당연히 머리가 복잡하니 그렇지.

꼭 그런 것들은 글이 형편없다니까.

일단 집중해. 시나리오에... 알았지?


다시 한달 두달 ...반년...일년이 지나갑니다.
초고 2고3고4고....

작가는 지쳐갑니다. 이젠 모든 에너지를 다 뺐겼습니다. 껍데기만 남습니다.

투자사에 밀어 넣었는데 반응이 안좋아.
큰일이네. 영화사가 계발비로 투자한게 얼만데...
작가는 이 모든 게 다 자기 책임 같게 느껴집니다.
글 좀 잘 써봐, 재미가 없데잖아...
일년 이년... 다시 기다림의 연속입니다.
이젠 견딜 수 없어 전화를 겁니다.

저 원고료 좀...

그럼 버럭 화를 냅니다.

작가! 너무하는 거 아냐?
작가가 글을 이따위로 써서 제작사가 손해를 얼마나 받는 줄 알아!
글구 본인이 스스로 하겠다고 덤벼서 써봐라 한거지...

영화사 문 닫게 생겼어.

(요즘도 근처 식당 음식값 밥값 계산 안하고 폐업하는 영화사가 부지기수죠)
영화사 사정 뻔히 알잖아.
그러지 말고 작가, 이번에 새로운 프로젝트가 있는데 작가가 딱이야.
그거 한번 붙어봐.
일단 지금 작업은 keep하고.

이렇게 작가라는 밧데리는 점점 방전되고 나중엔 폐기처분 됩니다.
다들 이런 과정을 겪고 충무로에서 사라집니다. 상처를 받고.
그럼 제작사들은 말하죠.

충무로에 작가가 없어... 큰일이야....

열정과 끈기도 없고,

조금 힘들면 나가떨어져.

돈 벌 궁리만 하니 글이 써져?



박대표, 근처에 괜찮은 작가 하나 없어?

우리 전속 작가가 개인 사정으로 그만 뒀거든.

대우?

충무로서 우리 영화사만큼 대우해주는 데 없어.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writeroh
2005.03.07 03:06
음... 작금의 현실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하지만 모든 일에서 일방적인 문제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작가라는 직업은 독립 사업자입니다. 그이름이 상호이고
그가 쓴 글이 팔 상품이지요.
때문에 당연히 제품을 만들기 전엔(글을 쓰기전에) 착수금을 받아야 합니다.
이건 정당한 상거래의 원칙입니다.
보통 피디나 제작사와의 관계성때문(?)에..
혹은 신인이다보니 돈이야기를 하기가 껄끄럽고...머... 등등..
이러한 소극적인 태도가 결국 문제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 이죠.

정상적인 기획자나 제작자, 혹은 피디라면
상품(시나리오)에 대하여 혹은 상품의 설계도(시높, 혹은 아이템)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등급과 가격, 혹은 계획을 세워 놓고 협상을 하려고 할것입니다.
(신인작가의 경우... 대부분 그 시나리오의 완성도를 보기 보다는
작가의 아이템이 개발가능성이 높다고 판단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때 작가 역시 냉정하게 자신 스스로의 장점과 부족함을 스스로 판단하고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일것 같습니다.
이렇듯 서로가 프로의식을 가지고 미팅이 이루어 진다면
대부분의 거래는 잡음없이 끝나기 마련입니다. 그것이 성사이든 아니든...

대부분의 시나리오를 쓰시는 분들이 착각을 하는것이 있는데
기성작가와 신인작가와 글의 차이가 별로 없다는 것인데...
욕먹을 각오하고 말씀 드리지만 분명히 차이는 있습니다.
그것은 작가로서 성숙 되어가면서 아마도 스스로 느끼실수 있을듯 합니다.
(* 참고로 영화화 된 시나리오 작가라고 해서 모두 기성작가로 구분하는건 아닙니다.)
세상 모든 일이 마찬가지이듯 천재아닌이상 시나리오 작가도 많은 노력이
뒷바침이 안되고는 어떠한 경지에 이를수 없는 듯 보입니다.

말이 좀 샜는데... ^^; 계속 이야기를 하자면...
금액이 적건 크건간에 판권계약이나 원안계약, 혹은 노동력제공에 대한 보수계약등
이 이루어지고 않거나 착수금이 집행되지 않을 경우는 거래하지 마십시요.
원칙은 이렇게 정해두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간혹 이런말을 하는 제작자나 피디의 경우가 많이 있는 데요....
투자금이 곧 들어오니까 그때 주겠다며 우선 시작부터 하자는둥의...
그것은 90%가 말 입니다.
그때는 이렇게 말해도 좋을듯 합니다. 그럼 투자금 들어온담에 다시 만나자고...
괜히 순간 자신의 욕심에 넘어가서 나중에 후회하지 마시고요.

분명한 것은 있습니다!
그 시나리오 혹은 시높이 정말 상품가치가 있다면
절대로 후불제 논의를 하려 들지 않는것이
기획자, 혹은 제작자등의 속성이지요.

한마디 덛부치자면...
양아마인드의 제작자도 많지만 그렇치 않은 노력하는 제작자도 많습니다.
결국 옥석구분은 스스로의 몫이고 책임 또한 스스로의 몫인 듯 합니다.
stormworld
2005.03.08 19:37
아... 저도 비슷한 상황인데요... 진행중인데...착수금을 받아야 했던겁니까??
이런....저희집에서도 난리가 났었는데 후우,.,. 시간만가고 촬영은 자꾸 미루다가 내년이라고 하네요.
hmju1
2005.03.09 20:19
정말이지, 이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한국영화가 버텨나가는 것 보면 정말 불가사의 하지 않습니까?
물론 소수의 정상적인 제작자분들이 있긴합니다만...
언젠가 싹 한번 청소가 되어야 하는데... 이 판도 개혁이 필요합니다.
leejh9329
2005.03.15 23:53
여러분들의 글을 읽으니 정말 공감가는 부분이 많군요. 여러분들의 의견이 100번맞습니다. 저도 한때 영화사에서 수도없이 시나리오를 끄적인적이 있지요. 그러나 영화를 기획하는 입장이 되보면 이게 180도 달라보이는 건 어쩔수 없습니다. 제작자는 실패하면 쪽박차는 겁니다. 그렇게 해서 사라진 사람들 많습니다. 그 사람들을 두둔하려는건 아니고 이런 현상은 영화계의 구조적인 모순 때문입니다. 헐리웃도 냉혹한 것은 마찬가집니다. 그리고 영화계도 제작자 입장에서 보면 냉혹한 현실인 경우가 많습니다. 제작자가 넉넉한 자본금 준비해두고 배 두드리며 영화제작하는 데는 한군데도 없습니다. 요는 그런 얌체같은 짓을 해도 아무런 제제를 받지 않는 구조적 모순때문이죠. 우리나라도 어서 조합을 결성해서 각 부분 영화인들의 이익을 수렴하고 조정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시나리오 작가들이 보는 관점 하고 영화감독, 특히 제작사쪽에서 보는 관점은 상당히 틀림니다. 글빨이나 아이디어 문제가 아닙니다. 영화는 산업이기 때문이죠. 거기서부터 현실의 괴리는 발생합니다. 제작사는 모든게 돈으로만 계산됩니다. 그래야 살아남으니까요. 요는 시나리오작가로 냉혹한 현실을 이겨내고 살아남으려면 그러한 현실을 간파하고 대처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leejh9329
2005.03.16 00:08
충무로에 작가가 없다?
이건 정말 맞는 얘깁니다. 영화사 입장에서 보면 그렇습니다. 제법 재미있는 시나리오도 보면 허점 투성인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당장 이걸로 어떻게 영화를 찍어? 이런 생각이 들게됩니다. 우선 대부분 전업작가(여기서는 작가를 지향하는) 들이 쓴 시나리오들은 영상적인 부분을 놓치기 십상입니다. 영화는 영상으로 보여지는 것이기 때문에 감독들에게 이 부분에서 어필하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이야기적인 구조에만 신경을 쓰다보면 영상에 대해서는 간과하게됩니다. 적어도 한 씬을 구성할때 이 장면이 어느정도 제작비가 들까도 생각해야 됩니다. 간단하게 비행기 화장실을 집어 넣거나 비행기안...이렇게 쓰다보면 (이거 장난 아닙니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비행기 내부 세트가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비행기를 빌려찍는다 하더라도 조명장치등의 문제등 상당한 제작비가 들어갑니다. ) 또한 중요한 것은 전장면과 다음장면 혹은 시퀀스별로의 영상적 대비까지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시나리오작가가 쓴 그대로 찍는 경우가 드문 것도 사실 이러한 것 때문입니다. 연출부원들이 필력이 작가보다는 딸려도 영화적인 아이디어는 빠르기 때문에 결국엔 연출부에서 대폭 수정한 시나리오가 나오게 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충무로에는 작가가 없다는 푸념도 나오게 마련입니다. 충무로에 작가가 없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andyma
2005.03.16 08:37
충무로에 작가가 없다.

저 역시 맞는 말이라고 봅니다. 정말 없어서 라기 보다 대다수의 시나리오 작가들이 시나리오의

중요성은 알면서 어느정도의 노력이 필요하고 얼마만큼의 실력이 요구되는지에 대해서는

외면하고 있습니다. 작가는 영화감독 이상으로 공부도 많이 해야하며 집필에 필요한 지식도

쌓아야 합니다. 더불어 한 사회의 인간으로서 풍부한 경험도 갖춰야 합니다. 좋은 영화들을

많이 보고 좋은 책을 많이 읽고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다양한 인간군상을 파헤쳐야 합니다.

그러나 신인들은 빨리 데뷔하고 싶어 공부는 뒷전이고 기성들은 각색으로 돈 좀 만져 보겠다고

탐구는 뒷전입니다. 이점은 작가들의 자만심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이런 근거들로 충무로에

작가가 없다는 말이 성립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여기엔 한국영화산업의 전반적인 시스템의

문제가 많은 작용을 하고 있다고 봅니다. 영화 창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포지션을

들라면 제작자, 감독, 프로듀서, 배우, 작가 를 우선 들 수 있을 것입니다. 프리프로덕션단계를

보면 감독이나 작가가 시나리오를 쓰고 프로듀서는 이를 검증하여 제작자의 오케이 사인을 받아

캐스팅과 투자를 병행하게 됩니다. 누구나 아는 공식이죠.

그런데 각각의 포지션들이 해주어야 할 일들은 많이 못해 주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작가들은 계약만 성사되면 만사 할 일 다했다는 식입니다. 요즘 작가들이 계약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부분이 "작업기간"입니다. 질질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의지죠. 분명 맞는 말이고 오래

붙잡고 있다고 더 좋은 시나리오 나오는 거 아니니까요. 하지만 이 부분이 악용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프로듀서의 경우는 솔직히 말해서 우리나라에 프로듀서 다운 프로듀서 자체가

없습니다. 그저 제작자의 직원 정도입니다. 프로듀서 역시 작가나 감독 이상의 공부와 자질을

갖춰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사실 개나 소나 하는 판이라 다들 제작자 취향 맞추기 바쁘고

작가나 감독들이 영화에 대해 얘기하면 무슨 소린지도 못알아 듣습니다.

창작자의 시선이 없으니까요. 시나리오든 영화든 만드는 눈이 없으면 보는 눈도 없는 겁니다.

우리나라 프로듀서들은 이 눈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작을 주도 하지 못하고 제작자와

스텝들 사이에서 우왕좌왕 하는 꼴이죠. 제작자 비위 맞추다 보면 못해먹겠다고 나도

독립한다는 소리나 맨날 해대구요. 이런 프로듀서가 제작자 된다고 뭐가 될리 없다고 봅니다.

제작자들은 익히 알고 있는 바데로 투자와 캐스팅에 목을 매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당연한 거 같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살펴보면 한국영화의 가장 잘못된 관행이라 할 수 있는

"씨드 머니" 때문입니다.

겉으로는 대기업의 입김을 견제하니 어쩌니 해도 제작자들이 씨드머니 이거 숨길려고 버티는

부분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 합니다. 결국 작품 선택의 최종권을 가진 제작자는 투자 받기 좋은

작품, 캐스팅하기 쉬운 작품만을 선호하게 됩니다.

이거 아니면 자신의 취향이라 고집하는 경우 정도 입니다.

간혹 제기되는 한국영화의 나쁜 흐름, 트랜드를 만드는 부분도 이들의 역할이죠.

여기에 위에 9329님이 쓴 글의 반박을 하나 덧붙이자면

감독들이나 감독지망생들 , 이미지나 디테일에 목숨 거는 경우 많이 봤습니다.

작가의 작품이 대폭 수정되서 메이드 된다고 하셨지만 이 경우는 둘 중 하납니다.

하나는 제작자가 투자 받기 좋은 시나리오를 컨택했다거나

(투자사 들이 읽기 좋은 시나리오죠) 연출부들이 뭔가 착각하고 있다거나 입니다.

전자는 영화에 대해 문외한 투자사직원들이 시나리오의 단문은 잘 못 읽기에 쉽게 읽을 수

있는 문학적인 글을 선호한 경우에 현장을 당황시키는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는 언급한데로 잘못된 생각 때문입니다.

시나리오는 디테일을 만드는 과정이 아닙니다. 구조를 짜는 단계이며

건출물의 설계도면과 같은 것이고 기업의 30억 프로젝트 기획안과

같은 것입니다. 에피소드 서너개 바꾼다고 시나리오가 대폭수정되는 거라고 볼 수 없는 겁니다.

같은 구조에 내장재 바꿨다고 건축물의 원형이 바뀌는 것은 절대 아니 듯

수정은 메이드 직전까지 계속 고민되고

당연히 해야 하는 과정이며 작가들에게 모든 책임과 임무가 주어지는 부분이 아닙니다.

상당 부분 감독의 몫인 겁니다.

더불어 감독은 당연히 구조와 디테일 모두에 뛰어나야 합니다.

사실 영화에서 만큼은 감독은 전지전능해야 합니다.

연출이나 감독으로서의 실력은 물론 제작자 이상으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작가보다

필력이 뛰어나야 합니다. 그런데 현실은 고집불통들이 더 많죠. 이미지에 집착해서 이야기를

보지 못하는 감독들. 보여주고 싶은 건 많은 데 뭘 걸러내야 할지는 모르는 감독들.

두서없는 얘기였을지 모르겠습니다. 쓰다보니 한쪽으로 치우쳐서 쓴 글로 보일 수도 있겠다

싶구요. 맨 앞에 언급했듯이 모두가 그렇다는 아닙니다. 훌륭한 제작자, 감독, 작가,

프로듀서 분들도 있지만 다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입니다.

충무로에 작가가 없다는 말은 맞지만 그 근본적인 문제는 한국영화계의 꼬여진

실타래 같은 문제점들과 함께 보완되고 해결되어져야 할 문제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대상이 특정되는 비방,폭로 등의 글은 삭제합니다 10
대상이 특정되는 비방,폭로 등의 글은 삭제합니다 10 관리자 2020.12.06 2355307
동시녹음 꿈나무를 찾아봐요. 11 PD최 2024.02.16 118091
경험 및 포폴 쌓기 위해 무페이로 한달 간 일해보려 합니다. 3 김매빌 2024.05.31 82284
메인플러스 질문드립니다 2 녹차라떼슈페너 2023.12.13 81973
서울대 영화과 신설이 시급하다. 21 minpacka 2024.06.06 74424
인천)무료로 프로필/화보촬영 하실분 2 소이뷰티 2024.07.04 73486
음향장비 pcm d10 질문 4 영화쟁 2024.05.13 71626
너무 힘들어서요 아무도 안 읽었으면 좋겠네요 9 연기하고싶은 2024.03.06 69280
세종에서 연기 과외선생님 구합니다 1 0206 2023.12.22 67800
유튜브 자체컨텐츠 제작 덕션 회사 있을까요? 1 deenda 2024.07.05 67549
한예종 전문사 vs kafa 4 1000만감독 2024.05.17 67533
배우 + 배우지망생들에게 이런 제의가 온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1 JAYDO 2024.07.06 66908
현장 경험하고 싶습니다. 6 jiee 2023.12.22 66813
오디션 성공을 위한 모델 배우의 네트워킹 비밀: 씨크릿 5단계 1 신CP 2024.04.28 65097
연출부 구인 관련하여 오픈채팅방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18 LeeJongChan 2024.06.30 63906
현장에서 막내로 일 배우고 싶습니다! 7 꼼자 2022.12.20 63847
메이크업 팀원 필요하신 분들! 2 으서 2024.05.23 62693
영화 촬영 후 스튜디오 원복은 미술팀의 몫인가요 아니면 제작부의 몫인가요? 4 WjddPwls 2024.04.30 62531
D.I에 참여해 보고싶습니다 9 colorist이주영 2024.02.26 62346
영화 촬영 현장 노동 강도가 어떤가요? 9 양갱 2023.12.09 61771
1 / 687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